본문 바로가기
정보공유

패스트캠퍼스 : 권오상 회계사의 지분법 및 연결회계 실무 강의 후기 (9일차)

by zeusin21 2024. 6. 25.
반응형

 

권오상의 금융 아카데미
강의 후기 9일차


9일차 강의입니다! :)

17.지분법중급Case3/4:

불균등증자(지분율감소)+기중변동/

지분처분,전환사채전환


18.지분법중급Case5:

해외지분법주식인수,영업권발생(ppa발생)

 

 

17강에서는 CASE3, CASE4를 풀이해주셨어요.

CASE3 에서는 기존회사 인수, 영업권발생(PPA발생)

+추가취득, 불균등증자(지분율감소)+기중변동 에 

대한 예시문제였구요!
특히 어제 강의에서 나왔던 지분율감소 

케이스가 등장했는데,
이번에는 40% → 30% 로 감소한 

케이스였어요. 
그래서 처분비율은 25%!

1차로 처분비율 계산한 다음엔,
Fare Value와 Book Value간의 차이와,

 Fare Value 기준의 

상각비 및 미상각잔액을 계산했구요
그다음, 불균등증자 전후의 지분*지분율을 계산 후 

투자금액을 반영하여
지분변동액과 투자제거차액을 계산했어요!
마지막으로 Should-be 방법으로 산출을 해서 

2차 검증까지 하면
해당 예시에 대한 

지분법 분개 작성이 가능해져요~

이와 동일한 방법 및 순서로 
CASE4의 기존회사 인수, 영업권발생(PPA발생)+추가취득, 

지분처분, 전환사채전환 예시도
풀이해주셨어요~

이후 18강에서는 CASE5를 풀이했는데요
17강 예시에 포함되어있던 내용이 주긴 하지만, 

차이점이라면
이번엔 해외주식인수에 대한 지분법이었어요!

똑같은 지분법 같아도, 각 상황별로 

적용하는 환율이 무엇인지와
기준대로 넣어도 발생하는 차이…

잘하고 있는게 맞는건지…
이런 부분 때문인지 해외사업장 기준 예시로도 

다시 한번 풀어주시더라구요!

우선 기준은 해외지분법주식 인수와 

영업권발생(PPA발생) 이구요~
단순 인수기준 예시기 때문에 1차로는 원화기준의

 주당 투자금액만 우선 산출한 후
자본데이터와 Fare Value, Book Value를 

모두 원화로 환산시켜줍니다~

단 환산시 주의할 점들이 있는데,
지난 9강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각 계정 성격에 따라 
마감환율, 평균환율, 거래당시환유류 등이 

적용되는데요,
예시를 진행하다보면 이걸 BS로 분류해야할지

 PL로 분류해야할지 헷갈리는 

계정들이 생기더라구요,.
이런 부분도 FLOW 관점과 Should be 관점으로 보면 

구분이 훨씬 수월하다고도 같이 설명해주셨어요!

그리고 9강에 나왔었는지는 좀 가물가물한데
영업권의 경우 K-GAAP 적용인지 K-IFRS 

적용인지에 따라 차이가 있더라구요.
K-GAAP의 경우 최초취득환율, K-IFRS의 경우 

기말환율 기준이라고 해요~
더 이상 튀어나오는게 없어야 할텐데.. 음… ㅠㅠ

내일은 CASE 6,7과 지분법관련이연법인세에 

관한 강의를 듣고 돌아올게요!
내일만나요! :D

본 포스팅은 패스트

캠퍼스 권오상 환급 코스 

미션 참여를 위해 작성하였습니다.

https://abit.ly/fjygz4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