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공유

패스트캠퍼스 : 권오상 회계사의 지분법 및 연결회계 실무 강의 후기 (6일차)

by zeusin21 2024. 6. 22.
반응형
권오상의 금융 아카데미
강의 후기 6일차


6일차 강의입니다! :)

 11.지분법기초Case1,2:

설립취득(국내/해외)


12.지분법기초Case3:

기존회사인수,영업권발생(ppa없음)

 


어제 말씀드린게 현실이 되었어요!

11강에서는 염가매수차익이 발생하는 케이스,
12강에서는 영업권과 염가매수차익

 발생 케이스가 각각 다뤄졌거든요…ㅎㅎ

11강, 12강 둘다 염가매수차익 발생이지만

 PPA가 있고, 없고의 차이가 있어요!
강의 이렇게 섬세하게 하나하나 

알려주셔도 되는거 맞나요…?? 

정말 대단하세요… (격한박수)

11강 강의 중 GAAP과 IFRS의 영업권 상각에 대한 

차이가 나오면서
하이마트와 관련된 내용도 같이 설명해주셨어요!
(이거 저만 모르던걸까요....?ㅋㅋ)

K-GAAP은 영업권 상각이 가능한데,
K-IFRS가 도입되면서 영업권 상각이 

불가능해졌다고 해요.
(기준서 상의 정의내용)

이 상황이 아이러니하게도 한 회사를 

살리게 된 Story인데
하이마트가 예전 유진그룹 소유중일 때, 

비상장 상태이면서 

투자자들에 대한 상장조건의 풋옵션이 있었대요
근데 유진그룹이 사오면서 잡혀있던 

영업권 금액이 많이 컸고,
영업권 상각을 제외하면 수익이 나고 있었지만, 

상각을 반영하면 

영업손실이 되어 상장이 불가능한 상황이 되었나봐요
(상장기준 중 영업손실 발생시

 상장불가 조건이 있다고 해요)


이때 마침, 11년 부터 K-IFRS가 도입되게 되었고 - 

상장 준비를 하거나 상장한 회사의 경우

 IFRS를 사용하다보니
하이마트 또한 IFRS로 컨버전을 했고, 

이와 동시에 영업권 상각부분 전부제거 및 자산이 

증가하면서 상장조건을 충족했다고 해요!
이때 유진그룹의 사정이 많이 좋지않아 풋옵션 행사시 

부도위기에 처해있었던 것 같은데
IFRS 컨버전으로 상장까지 하면서

 롯데에 크게 수익을 남기고 

매각한 IFRS가 한 회사를 살린 Story…가 되었어요.
드라마에 있을 법한 이야기가 현실에 

있는 느낌…이예요…. 

당시 유진그룹에 계셨던 분들 너무 

고생이셨을거같아요............

12강에서는 처음으로 

PPA(Purchase Price Allocation)가 나왔어요!
지금 회사 일하면서 최대주주가 변경되서

 PPA를 겪은 적이 있는데 ….
그냥 제겐 요청자료 보내면 되는 일! 

정도로만 있던 것이
무슨 이유로 어떻게 이용하기 위해서~ 를 

알 수 있는 좋은 예시였어요!

여기서 또 K-GAAP과 K-IFRS의 차이가 나오는데
GAAP의 경우 금액의 합리적 추정이 가능해야 

PPA 반영이 가능하지만
IFRS의 경우 합리적 추정이 불가능하더라도

 PPA 식별이 필수라네요 …...
아니 합리적 식별이 불가능한데 왜 …????????? 

싶은건 저만일까요…??
IFRS… 참 피곤해요…....ㅋㅋㅋㅋㅋ

오늘도! 드라마 한편을 본 듯한 유진그룹의 

하이마트 스토리와 …....
각 상황별 예시에 대한 설명, 

재밌고 알차게 잘 듣고 왔어요!

내일 7일차 강의로 돌아오겠습니다 :)

본 포스팅은 패스트

캠퍼스 권오상 환급 코스 

미션 참여를 위해 작성하였습니다.

https://abit.ly/fjygz4

반응형

댓글